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닫기

통합검색


'토지' 에 관한 검색 결과입니다.

정확도순 최신순 저자(가나다순)

전체선택 모든 내용보기 모든 초록보기 엑셀로 저장
  • 날짜 : 2005년 3월
    저자 : 여홍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미리보기

    원문다운

  • 출간년월 논문제목 본문 논문초록 논문저자 저널종류
    2005년 3월 토지이용규제의 합리화 여홍구 도시정보
  • 날짜 : 2005년 3월
    저자 : 서순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미리보기

    원문다운

  • 2005년 3월 토지이용규제 개혁추진과 한계 토지이용규제 현황
    토지이용규제의 문제점
    정부의 토지이용규제 합리화 방안
    정부 토지이용규제 개혁의 한계
    토지이용규제 개혁과제
    참고문헌
    서순탁 도시정보
  • 날짜 : 2005년 3월
    저자 : 최막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미리보기

    원문다운

  • 2005년 3월 규제의 소비자 관점에서 본 토지이용규제의 합리화 최막중 도시정보
  • 날짜 : 2006년 2월
    저자 : 황의창, 허정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미리보기

    원문다운

  • 2006년 2월 매수방식과 환지방식을 혼용한 도시개발 들어가는 말
    토지이용 용도차등에 따른 혼용방식
    사례 분석
    맺는 말
    참고문헌
    황의창, 허정문 도시정보
  • 날짜 : 1970년 4월
    저자 : 주종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미리보기

    원문다운

  • 1970년 4월 Housing in South America Case 초록
    1. Introduction
    2. Economic Development
    3. Political Instability
    4. Social Changes
    5. Goals for Planning
    6. Housing Needs
      남미는 미국의 두배의 면적인 6,800,000 평방마일에(French Guina Surinam 제외)스페인어를 ‘사용하고 있는 9개 나라, 영어를 쓰는한나라, 그리고 폴투갈어를 시용하는 한개의 나라등 11개의 나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1966년 현재 인구는 1억 6천 9백만이 살고 있었다. Wilgus는 그의 저서 “Historical Atlas of Latin America”에서 북남미대륙은 그 모양이 세모꼴인데 대부분의 북미대륙은 온대지방에 속해있고 남미와 북미대륙은 열대지방에 속한다고 기술했다.
      또한 Wilgus는 그의저서에서 유럽인이 이지역에 첫발을 디딘. 서기 1500년 이전의 여러단계의 문명도를 설명하였고 「콜럼버스」항해의 결과로 빚어진 폴트갈과 스페인의 토지소유권에 대한 분쟁과 약300년간의 「스페인」과 「폴트갈」의 점령 독립을 위한 투쟁, 남미와 북미와의 관계, 그리고 범아메리카주의 등을 설명하였다. 본문에서는 남미의 경제적발전, 정치적불안정, 사회적인 변화를 고찰해 보았고, 다음으로 남미의 부족주택수 조사 분석, 남미주택과 관련된 중요문제들 주택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주택재정 및 남미주택을 위한 국제적인 기관들과 그것들의 공헌을 고찰하였다.
      남미의 주택문제는 심각하여 이문제에 대한 많은 전문가가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의 한 보고서에 의하면 도시민의 약 40%가 불량주택에 살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연간 3%식의 인구증가율로 20년마다 인구가 배로 늘어난다고 하며 이문제를 수수반관할 수 없는 것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주택과 관련되는 여러가지 인자들을 분석검로하며 통합된 주택기구를 창설하여 공통점이 많은 각국간에 서로 협조하므로서 주택문제를 완화하기를 제안 하였다.
    주종원 국토계획
  • 날짜 : 1992년 8월
    저자 : 황희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미리보기

    원문다운

  • 1992년 8월 Ecological Dynamic Balance of Urban Land Use Transition 국문 요약
    Ⅰ. Introduction
    Ⅱ. Hypothesis
    Ⅲ. Application to a Logistic Model -The Case of Urban Central Areas in Korea-
    Ⅳ. Conclusion
    References
      이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중심부의 공간구조를 분석하는 도구로 생태이론을 사용하게 된 당위성을 밝히고 생태학적 관점에서 도시중심부의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모형을 정립했다.
      모형은 도시중심부 토지이용변화의 생태적 원리로서 ‘동석균제의 원리’를 가설로써 추출하고 이에 대해 검증함으로써 정립되었다. 가설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간사회의 공동체내에서 인구와 시설물들이 이룬 군집과 그에 따라 형성된 공간적 영역은 자연 상태에서 생물종들이 이룬 것과 마찬가지로 계속되는 변화속에서 존재하며, 그 변화는 기존의 질서속에서 얼어난다. 같은 원리에 의해 도시중심부의 로지이용과정은 변화에 적응하는 동태적 과정이고 현상에 기반을 두고 조절을 모색하는 균제의 과정이다. 따라서 도시중심부는 경쟁을 통한 적응과 조절을 통한 균제에 의해 동적 균제를 이루고 있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이 연구는 서울 인사동 일대와 청주시 중심부의 토지이용변화가 생태계의 동적 균제현상을 대변하고 있는 로지스틱 성장곡선의 이론식에 부합되는지의 여부를 가렸다. 그 결과 현장 조사값과 이론식의 측정값 사이에는 매우 밀정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됐다.
      이 연구는 두군데의 제한적인 지역에 나타난 현상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황희연 국토계획
  • 날짜 : 1993년 5월
    저자 : 윤대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미리보기

    원문다운

  • 1993년 5월 Urban Residential Location, Leisure Choice, and the Effects of Income Variation 국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The Model
    Ⅲ. Effects of Income Variation
    Ⅳ. Concluding Comments
    REFERENCES
      도시토지이용을 설명하는 대부분의 이론적 모형들은 주거입지의 선택에 있어서 통근비용의 중요성만 주로 강조해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일부 도시경제학자들은 소비자들의 주거입지선택을 이론적으로 모형화하기 위해 통근비용뿐만 아니라, 주거의 입지장소에 따라 여가시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시간요소(time factors)를 고려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들 도시경제학자들은 인간의 여가활동이 도시의 교외지역에서 얼어나는 가능성을 무시하고 단순히 Alonso(1964)의 가정대로 모든 활동이 하나의 도심에서만 일어나는 이른바 단핵도시(monocentric city)를 가청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미국인들은 주로 교외지향적인 여가활동을 선호하고 즐기는 편이고, 개발도상국의 국민과 유럽인들은 그들의 여가시간을 도심에 있는 각종 문화시설이나 체육시설을 이용하거나 도심을 주로 만남의 장소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의 미국도시들의 도심부(CBD)가 밤이면 유령의 거리가 되는 반면에 개발도상국과 유럽의 도시들은 그렇지 않다는 사실에서도 엿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여가선호의 문화적 차이를 가지는 두가지 유형의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주거입지행태를 비교하기 위해 통근을 위한 교통시간과 교통비용, 그리고 여가활동을 위한 교통시간과 교통비용을 분리해서 고려하는 이론적 오형을 개발하였다. 나아가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여가선호의 문화적 차이를 가지는 두가지 유형의 국가들에서 만약에 소득이 변화할 경우에 주거입지행태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비교ㆍ예측하기 위해 비교정학분석(comparative static analysis)을 시도하였다. 비교정학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당 임금(wage rate)이 변화할 경우 주택규모 및 주거입지의 변화는 두가지 유형의 국가들 모두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기본모형의 정립에서 직장의 근무시간(working time)이 가변적이고 소비자의 임금소득은 근무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가정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주택규모 및 주거입지의 변화행태는 직장근무시간의 시간당 엄금탄력성(wage rate elasticity of working time)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비근로소득(nonwage income)이 증가할 경우 두가지 유형의 국가들 모두 똑 같이 가구들은 더 넓은 주택공간을 소비할 것이다. 그러나, 비근로소득이 증가할 경우 개발도상국의 국민과 유럽인들은 주거입지를 도시의 교외지역으로 이동할 것이나, 미국인들의 주거입지변화는 확실하게 예측되지 않는다.
    윤대식 국토계획
  • 날짜 : 1993년 8월
    저자 : 서의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미리보기

    원문다운

  • 1993년 8월 大學周邊 土地利用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ABSTRACT
    Ⅰ. 서론
    Ⅱ. 대학별 입지여건
    Ⅲ. 대학주변 토지이용 현황
    Ⅳ. 대학주변 토지이용의 변화
    Ⅴ. 대학주변 토지이용 문제점과 개선방향
    Ⅵ. 결론

    參考文獻
      Major universities usually have student population of 20,000 or more, and, together with sizable number of employees and service population, this size alone exceeds that of city-sized administrative unit, Eup, sometimes. However, city planners and policy-makers have not paid enough attention to their special needs and to the impacts that universities have upon landuse in surrounding areas.
      In this study, landuse in surrounding areas of 5 major universities in Pusan are analyzed to find any distinctive patterns o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Some of the findings are (1) inefficient landuse, (2) indistinguishable landuse patterns, except for Pusan National University, (3) emerging patterns in terms of street types and floor levels, (4) large per centage of eateries, pubs, and leisure and recreational facilities, (5) small percentage of education related facilities, and (6) rapid change in land use. In addition, some of the problems identified are (1) lack of regulatory tools other than zoning and building code and (2) lack of sites suitable for university location.
      For possible solutions, (l) change in location for those universities located at steep mountain slopes or unsuitable sites in terms of city structure and 2) new regulatory tools, such as urban design technique and district detail plan, are proposed. However, this study limits its scope to empirical analysis of landuse in surrounding areas of 5 major universities in Pusan, and further studies must be followed to come up with a number of tools to regulate landuse dysfunctional to university education and to meet special needs of a university.
    서의택 국토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