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선택
저자 : Douglas M. Johnston, 조주형, 이종성
AbstractⅠ. IntroductionⅡ. Method and ScopeⅢ. A Case Study in Fort Hood. TXⅣ. Proposed MethodologyⅤ. ConclusionsⅥ. Bibliography
히스토릭 데이터는 문화적 특성의 기록뿐 아니라 과거의 여러 환경적인 조건의 변화를 평가하고 파악하는데 그 연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토지경영 및 도시환경 계획 시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이러한 히스토릭 데이터는 최근 자료구조 및 지리좌표 정보 등에 부합되기 위한 변환과정을 요하며, 이러한 과정은 히스토릭 데이터의 보전과 더불어 과거자료의 효과적인 이용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U.S. Army Construction Engineering Research Lab으로부터 수탁 되어진 연구주제로 히스토릭 항공사진의 이용과 보전을 위한 방법을 평가하고, 환경적 요소 등의 차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최근 Color IR Imagery 데이터와의 결합을 통해 그 활용적용 가능성 및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저자 : Lee, Jae-Su
AbstractⅠ. INTRODUCTIONⅡ. REVIEW OF PREVIOUS STUDIESⅢ. METHODOLOGYⅣ. DATA AND MEASUREMENTⅤ. RESULTSⅥ. CONCLUSIONSREFERENCES
이 연구는 쇼핑과 위락통행에서 거주지 주변의 토지이용패턴과 가구단위 자동차 통행거리간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휴스턴 대도시지역을 대상으로 가구통행 조사 자료와 토지이용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관측 변수들간 인과관계를 밝히는 새로운 방법인 Directed Acyclic Sraphs(DACs)를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행가구의 거주지 주변 인구밀도, 토지이용 혼합도와 도로 네트워크 등 세 가지 차원의 토지이용 모두 가구의 총통행거리에 직접적인 인과관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토지이용 밀도, 다양성과 디자인 변수 모두 가구단위 총통행거리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둘째, 토지이용 변수는 자동차 통행발생과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는 반면, 통행비용 (USD/㎞)과는 직접적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셋째, 가구단위 통행거리에 대한 전통적인 회귀분석 결과는 가구의 통행거리 감소에 대한 토지이용 효과 측면에서 DAS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분석결과에 비해 과다하게 추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지역의 토지이용 특성이 가구의 자동차 통행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자동차 이용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오염과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정책이라는 사실 뒷받침한다.
저자 : 김경민, 강명구, 최창규, 김진유, 김현수
들어가며 : 국가공기업에 대한 새로운 요구한국토지주택공사의 목표와 역할해외공기업의 변천여건 변화와 쟁점국가공기업의 바람직한 선진화 방향참고문헌
저자 : 강병기
국토계획법에서 “선계획,후개발”정책은 국토의 토지이용지역을 4분류하는 과정에서 종전 국토이용법 상의 준도시지역과 준농림지역을 묶어 “관리지역”으로 통합하였고 그 이름도 강하게 계획 의지를 나타낸 “관리”지역으로 하였다. 이는 1994년 도시부와 농촌부를 통합한 통합시의 출현과 무관치 않다. 통합시 제도가 출범했음에도 그 행정구역 안에 편입된 비시가화지역에 대한 계획적 관리의 허점을 보완코자하는 의지의 발현이다. 규제완화의 장에서 계획적 관리의 장으로 그 위상이 180도 바꾸겠다는 정책전환의 몸짓이다. (본문중에서)
저자 : 강성길
1. 운영지침검토 2. 운영의 현안과제 3. 운영사례 분석 4. 도시관리계획 적용과제 5. 결과종합
저자 : 강영경, 이창효, 이승일
Subway has many virtues so that it is appropriate for metropolitan area. Local governments of many metropolitan cities try to encourage people to use subway. However, in Seoul, passengers are heavily concentrated in specific areas. This results in crowded subway train. On the other hand, in some areas, there are few passengers. In light of enormous subway construction cost, this imbalance is inefficient. Therefore, distributing passengers evenly should be considered. To do so, it is needed to identify what factors cause crowed subway trai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using regression analysis. A dependent variable of the model is the average crowding degree from 8 a.m. to 9 a.m. in subway train in Seoul. Independent variables are land use of subway station area, betweenness centrality, and the number of nearby transfer stations. The analysis showed difference of land-use factors' influence by direction of subway and importance of betweenness centrality. This implies that the change of subway line or development of destination station area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may worsen crowding degree of subway train.